SJA 뮤직비지니스 특별과정 7기(12주) :
음악산업 전문가, 취업 희망자 (음악 기획, 제작, A&R, 마케팅, 유통, 플랫폼, 저작권 등 교육)
“CJ E&M, 카카오, 로엔엔터테인먼트, KT뮤직, 엠넷, 네이버뮤직, 벅스, SM, YG, JYP, 빅히트엔터테인먼트, 플럭서스, 안테나, 파스텔뮤직, 미러볼뮤직, 라이브네이션, VU엔터테인먼트, 마스터플랜, 인터파크, KBS-FM, 한국음악저작권협회, 한국음악실연자연합회 같은 곳에서 일하고 싶다. 그런데 어디서부터 시작하지?”
단순히 음악만 좋아한다고 음악산업계에 취업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.
그럼, 어떻게 해야 하냐고요?
당연히 ‘뮤직비지니스’를 공부하셔야죠!
“SJA 뮤직비지니스 특별과정”은 음악산업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엄선된 강사진으로 여러분의 뮤직비지니스에 관한 궁금증을 차분히 풀어드립니다.
아울러 25명의 음악산업계 중진들과 만남으로써 그 분들과의 소중한 ‘네트워크’를 가질 수 있다는 것 또한 장점입니다.
◆ 모집 대상 및 일정 ◆
•대상 : 음악산업 전문가, 취업, 창업 희망자
•모토 : Music Industry Access Platform
•교육목적 : 음악산업/뮤직비지니스 전문인력 양성
•교육특징 : 12주 안에 음악산업/뮤직비지니스 기본 실무 마스터
•책임강사 : 박준흠(사운드네트워크 대표, BP음악산업센터 센터장, 한국음악산업학회 회장)
•기간 : 7기 (2017년 5~7월) 모집 중
•개강일 : 2017년 5월 8일 월요일
•장소 : 서울재즈아카데미 대학로센터 504호
•수업시간 : 월요일/화요일 오후 7시 30분 ~ 10시 30분
•수업과목 : 전문강의 9과목(1과목 당 90분씩 4회 수업)과 특강 12회
•교육일수 : 12주 (매주 월/화 24일 강의 진행 + 별도의 음악산업 현장탐방수업 2일)
•교육방법 : 90분짜리 강독, 특강 프로그램으로 1일 2강 진행 (*총 48강)
•수강료 : 110만원 (*카드분납 가능)
•정원 : 30명
※ 음악산업계 기업/기관/협회 대표, 부서장 특강은 매주 1회 진행(총 12회)
※ 수강신청/수강료 등 문의 : 02-766-7779 (*SJA 뮤직비지니스 특별과정 담당자)
◆ 수강신청, 수강료납부, 환불규정 ◆
1) 수강신청안내
- 수강신청기간 : 2017년 3월 27일 ~ 2017년 5월 8일(월) (*선착순 마감)
- 신청방법
1-1. 온라인 홈페이지 원서접수 온라인 원서접수 클릭~~!!
[온라인 원서접수] http://www.sja.co.kr/xe/index.php?mid=n91
1-2.방문접수 : SJA 2층 교육부 방문 원서작성
2) 수강료납부
*수 강 료 : 110만원 (*카드할부 가능)
납부기간 : 2017년 5월 8일(월)까지
납부방법 : 계좌이체(국민 488437-01-000243 ㈜서울재즈아카데미)
방문결제-현금, 카드(무이자할부가능)
수강료 납부가 이루어져야 등록완료가 되므로, 원서접수 후 안내에 따라 수강료를 납부해주시기 바랍니다.
*최소 모집인원이 충족되지 않으면, 개강이 연기되거나 취소될 수 있습니다.
3) 수강료 환불규정
수강생이 환불을 요구한 날까지의 교습시간이 기준이 됩니다.
개강일 전날까지는 수강료 전액 환불
개강당일 및 교습시간의 1/3 전일까지는 총 수강료의 2/3 환불
교습시간의 1/3부터 1/2전날까지는 총 수강료의 1/2 환불
교습시간의 1/2되는 날부터는 환불이 되지 않는다.
*개강 전, 안내문자를 발송해 드립니다. 안내에 따라 개강 일에 맞춰 출석하시기 바랍니다.
-준비물 : 반명함판사진(1장), 필기도구(노트, 연필 등)
◆ 수업 내용 (48강) ◆
•대중음악에 대한 이해(예술과 산업으로서의 대중음악의 이해)
•음악산업에 대한 이해, 음악산업 이슈와 트렌드
•뮤직비지니스 개론
•음악산업/뮤직비지니스 현장실무(음악 투자, 제작, 유통, 마케팅, 서비스플랫폼, 뮤직퍼블리싱, 저작권, 회계, 계약 등)
•현장실무 워크숍(음악기획과 기획서 작성 방법론, 사업제안서작성 실무, 포트폴리오 제작 등)
•음악산업 특강&네트워크(음악산업 관련 기업/기관/협회 대표, 부서장 12명 특강)
•음악산업 현장탐방수업(*별도로 평일 2회 진행)
※ 현장탐방수업 안내 : http://www.soundnetwork.kr/xe/sound_industry
◆ 책임 강사 : 매주 월요일 19:30~21:00 ◆
박준흠(사운드네트워크 대표, BP음악산업센터 센터장, 한국음악산업학회 회장)
예술과 산업으로서의 대중음악의 이해(4주)
음악기획과 기획서 작성 방법론(4주)
포트폴리오 제작/면접 대비(4주)
음악산업 현장탐방수업(별도 2회 진행)
특강 세팅(매주 월요일 12회)
*프로필 : http://www.soundnetwork.kr/soundlab/introduce.html
◆ 전문 강사 (6명) : 매주 화요일 19:30~22:30 ◆
- 제작, A&R : 박태용(소노르뮤직 대표, 전 포니캐년코리아 음악사업부 A&R 팀장)
“음반제작기획 및 A&R 실무”
http://www.ponycanyon.co.kr
- 투자&유통 : 심희진(CJ 디지털뮤직 음악유통팀 파트장)
“음악 투자 및 유통(온,오프라인 대리중개) 실무”
http://www.cjenm.com/business/music/music1.aspx
- 서비스플랫폼 : 김민준(음악서비스기획자. KT뮤직, 소리바다, 아이리버, 리슨미, Bainil 등)
“국내외 음악서비스사업 및 플랫폼비즈니스 실무”
http://www.bainil.com
- 글로벌 마케팅 : 노건식(메트로폴리스코리아 대표)
“글로벌 마케팅 및 프로모션 기획, 음악상품 개발 실무”
http://www.metropolis-korea.com
- 저작권 : 유재진(전 함께하는음악저작인협회 전략기획팀장, 소리바다 정책팀장)
“음악산업의 법적 이해; 저작권과 관계법령”
http://www.soribada.com
- 음악산업 이슈와 트렌드 : 김경진(전 스트라디움 부관장, CJ E&M 음악사업부문 음악제작팀장)
“국내외 음악산업 구조 및 트렌드 분석; 음악산업의 주요 이슈와 트렌드”
http://www.stradeum.com
◆ 특강 강사 (12명) : 매주 월요일 21:00~22:30 ◆
- 고건혁(붕가붕가레코드 대표)
http://www.bgbg.co.kr
- 금기훈(미디어스코프 대표, 전 CJ E&M 디지털미디어사업 본부장)
http://www.mediascope.kr
- 김봉환(벅스 컨텐츠 기획)
http://www.bugs.co.kr
- 백순진(함께하는음악저작인협회 이사장)
http://www.koscap.or.kr
- 서병기(헤럴드경제 대중문화 선임기자)
http://biz.heraldcorp.com
- 유재진(전 함께하는음악저작인협회 전략기획팀장, 전 소리바다 정책팀장/저작권보호센터장)
http://www.soribada.com
- 이창희(미러볼뮤직 대표)
http://www.mirrorballmusic.co.kr
- 장수임(카카오 다음앱팀 콘텐츠마케팅파트 PD)
http://www.kakaocorp.com
- 정일서(KBS 라디오 PD)
http://radio.kbs.co.kr
- 정훈(한국음악실연자연합회 사업국장)
http://www.fkmp.kr
- 조규철(유니버설뮤직퍼블리싱코리아 대표)
http://www.universalmusic.com
- 최정훈(오디오가이레코드 대표)
http://www.audioguyrecords.com
◆ 원서 접수 및 등록 ◆
원서 작성 후 이메일 발송 또는 방문 접수, 모든 과정 반명함판 사진 2장 제출
[온라인 원서접수] http://www.sja.co.kr/xe/index.php?mid=n91
[상세소개서 다운로드]
‘SJA 뮤직비지니스 특별과정’에서 상세하게 알려주는 음악산업계에서 일하기 위해 먼저 습득해야 하는 다양한 음악산업/뮤직비지니스 실무. ‘SJA 뮤직비지니스 특별과정’을 수강하면 여러분도 음악산업 준전문가!
■ SJA 뮤직비지니스 특별과정 7기 시간표
※ 강사 사정으로 인해 교육 순서의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.
※ 특강강사 개인별 강의 주제는 추후 공지합니다.
‣ 강좌 관련 내용
- 서울재즈아카데미 내 소개 페이지 : http://www.sja.co.kr/xe/index.php?mid=n91
- 사운드네트워크 내 소개 페이지 : http://www.ksoundlab.com/xe/sja_musicbusiness
요일 | 시간 | 1~4주 (1학기) 5/8~5/30 | 5~8주 (2학기) 6/5~6/27 | 9~12주 (3학기) 7/3~7/25 | |||
월요일 | 19:30 (90분) | 대중음악의 이해 (박준흠) | 음악콘텐츠기획서 작성 방법론 (박준흠) | 포트폴리오 제작/ 면접 대비 (박준흠) | |||
21:00 (90분) | *특강 : 백순진, 금기훈, 김봉환, 조규철 | *특강 : 장수임, 유재진, 최정훈, 서병기 | *특강 : 정훈, 고건혁, 이창희, 정일서 | ||||
화요일 | 19:30 (90분) | 서비스 플랫폼 (김민준) 2주 | 투자&유통 (심희진) 2주 | 저작권 (유재진) 2주 | 글로벌 마케팅 (노건식) 2주 | 음반제작A&R (박태용) 2주 | 이슈와 트렌드 (김경진) 2주 |
21:00 (90분) | |||||||
요일 미정 | 시간 미정 | - | 현장탐방1 | 현장탐방2 |
[강좌 소개]
■ “Music Industry Access Platform”
음악산업에는 종합음악기업(CJ E&M, 로엔엔터테인먼트, KT-MUSIC), 음반기획사(SM, YG, JYP, 빅히트엔터테인먼트, 플럭서스, 파스텔뮤직, 마스터플랜, 안테나, 해피로봇레코드, 붕가붕가레코드, 루비레코드 등), 공연기획사(라이브네이션, VU엔터테인먼트, 프라이빗커브, 액세스엔터테인먼트, 메이드바이 등), 음악유통사(인터파크, 미러볼뮤직 등), 음악방송국(엠넷, MBC뮤직, KBS-FM, CBS-FM 등), 인터넷/모바일기업(카카오/다음, 네이버뮤직, 비트패킹컴퍼니 등), 마케팅에이전시(컴퍼니F, 포츈, 메이커스 등), 공연장(마포아트센터, 블루스퀘어, 악스홀 등), 협회(한국음악저작권협회, 한국음악실연자연합회, 함께하는음악저작인협회 등) 등 무척 많은 ‘취업처’가 포진되어 있음에도 지금까지는 음악산업계로 진출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을 위한 전문교육시스템은 없었다. 그럼에도 음악기업들은 신입한테까지도 음악산업/뮤직비니스 관련 전문적인 지식을 요구하고 있는 형편이다.
이에 서울재즈아카데미에서는 ‘음악산업 전문가 양성’을 목적으로 하는 ‘SJA 뮤직비지니스 특별과정’을 대학로 SJA센터에 개설한다. (*월/화 저녁 7시 30분~10시 30분,총 12주/24일 교육 + 별도의 음악산업 현장탐방수업 2일 진행)
■ “총 19명의 음악산업계 중진들과 네트워킹 할 수 있는 기회!”
‘SJA Music Business 특별과정’에는 음악산업 전문가 7인이 강의를 하는 9개의 전문교과목뿐만 아니라 ‘음악산업 관련 기업/기관/협회 대표, 부서장들의 총 12회 네트워크특강’이 매주 예정되어 있다.
[강좌 특징]
(1) 음악산업계 네트워크 강화
- 수강생 취업에 대한 고려로 강좌를 통해서 총 19명의 음악산업계 중진들과 네트워킹 할 수 있는 기회 마련
(2) 실무 중심의 커리큘럼 구성
- 뮤직비지니스 과정 수강 후 음악산업 현장에서 단기간 내에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실무 중심으로 설계
- 음악 관련 기업/기관/협회에서 공채 시 인재선택 요건을 고려하여 설계
- 음악 관련 기업/기관/협회에서 진행하는 입사 후 직무교육을 고려하여 설계
(3) 강사진의 현장전문성
- 현재 음악산업 현장에서 적어도 10년 이상 각자의 전문분야에서 업무를 수행한 경력이 있는 사람들 중심으로 강사 선정
- 현재 음악산업계를 움직이는 주요한 인물들 중심으로 강사 선정
(4) 현장 실무자 양성을 위한 ‘프로젝트 기획’ 중심의 워크숍 진행
- 수업 안에서 개인별로 음악사업 프로젝트 개발, 포트폴리오 작업
(5) 동문네트워크 추진
- 교육프로그램을 기수 개념으로 진행하고(1기, 2기...), 수료 후 동문네트워크 추진
- 장차 한국의 음악산업계 현장에서 SJA 뮤직비지니스 특별과정 수료생들이 원활하게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함
[SJA 뮤직비지니스 특별과정 교육 타켓]
- 뮤직비지니스를 실무적으로/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어 하는 사람
- 음악산업계에서 일하고 싶은 대학교/대학원의 재학생/졸업생
- 음악산업계 네트워크가 필요한 현업 종사자
- 대중음악 축제, 공연, 음반, 매체/출판, 아카이브 기획을 하고 싶은 사람
- 기타 음악산업계로 진입하고 싶어 하는 모든 사람
[SJA 뮤직비지니스 특별과정 수료 후 진로]
▪ 종합음악기업 분야
- 음반/공연 제작, 매니지먼트, 유통, 글로벌마케팅 등을 동시에 하는 음악기업
▪ 음반 기획, 제작 분야
- 음반 제작사 등을 총괄하는 기획자, 제작자, 프로듀서 등
- 음반기획사 매니지먼트 관련 종사자
▪ 음악 공연/축제 기획, 제작 분야
- 콘서트, 축제 제작사 등을 총괄하는 기획자, 프로듀서, 연출가 등
- 중대극장 공연담당, 각 문화재단 공연 담당자
▪ 음악저작권 관련 분야
- 음악저작권 관련 협회
- 뮤직퍼블리싱 관련 기업
▪ 음악마켓, 음악박람회 기획, 제작 분야
- 한국 뮤지션 해외진출 등 글로벌 뮤직비지니스가 중요해진 현재 해외 음악관계자들을 네트워크하는 음악마켓, 음악박람회 기획자, 제작자 등
▪ 이벤트산업 분야
- 광고대행사 프로듀서, 기업이벤트, 관광(축제)이벤트, 스포츠이벤트, 국제회의(컨벤션) 등의 전문기획사 프로듀서(기획, 연출, 제작사)
▪ 문화산업(문화콘텐츠, 엔터테인먼트 등) 분야
- 음반, 방송, 게임, 영화, 애니메이션, 연예 매니지먼트 등의 프로듀서, 매니저
▪ 언론매체, 홍보마케팅 분야
- 방송, 신문, 잡지 기자 및 문화사업국 프로듀서(기획, 연출, 제작자)
- 각 기업의 광고, 홍보, 마케팅, 이벤트 담담자
▪ 각종 대중문화 분야의 공연과 행사의 스페셜이벤트 제작자, 기획자, 매니저, 컨설턴트, 연출자 및 스태프
- 마케팅, 홍보, 관객개발, 관객서비스, 펀드레이징, 아웃리치교육)로서 전문적 활동
▪ 기타
- 문화산업/예술, 공연, 축제 관련 공무원, 행정가
- 대중음악 관련 학계에서의 활동
[SJA 뮤직비지니스 특별과정 커리큘럼]
1) 대중음악, 음악산업 & 뮤직비지니스 이해 (12강)
‣ 대중음악의 역사와 이해 과정(1과목)
- 예술과 산업으로서의 대중음악의 이해
‣ 음악산업 및 음악저작권 이해 과정(2과목)
- 음악산업의 법적 이해 (저작권과 관계법령)
- 음악산업의 이슈와 트렌드 (국내외 음악산업 구조 및 트렌드 분석)
2) 뮤직비지니스 실무&워크숍 (24강)
‣ 뮤직비즈니스 실무 과정(4과목)
- 제작, A&R> 음반제작기획 및 A&R 실무
- 투자&유통> 음악 투자 및 유통 실무
- 서비스플랫폼> 국내외 음악서비스사업 및 플랫폼비즈니스 실무
- 마케팅> 국내, 글로벌 마케팅 및 프로모션 기획, 음악상품 개발 실무
‣ 실무워크숍 과정(2과목)
- 기획 실무> 음악기획과 기획서 작성 방법론
- 취업면접 대비> 본인 포트폴리오 제작
3) 음악산업 특강&네트워크 (12강)
‣ 음악산업 관련 기업/기관/협회 대표, 부서장 12명 매주 특강 진행
4) 음악산업 현장탐방수업 (2일)
- 월 1회, 총2회 진행
※ 예상 현장탐방처
- CJ E&M, 로엔엔터테인먼트, KT-MUSIC, 파스텔뮤직 등의 음악기업
- 문화재단(아트센터), 공연장 등
[책임강사 소개]
※ 전문강사, 특강강사 프로필은 오른쪽 서브메뉴 ‘7기 강사진 소개’ 참조
■ 박준흠 : 매주 월요일 19:30~21:00
- 박준흠(사운드네트워크 대표, 한국음악산업학회 회장)
*프로필 : http://www.soundnetwork.kr/soundlab/introduce.html
대중음악SOUND 발행인, 서울아레나 음악생태계 연구 책임연구원, 경희대학교 겸임교수, SJA 뮤직비지니스 특별과정 책임강사.월간음악전문지 ‘서브’(1997~1999), 인터넷음악방송국 ‘쌈넷’/쌈지사운드페스티벌(2000~2001), 광명음악밸리축제(2005~2006), 광주청소년음악페스티벌(2008), 인천펜타포트페스티벌(2010), 한국대중음악라이브홀릭(2011), 월드DJ페스티벌(2012), 한대수SOUND프로젝트(2016), 남이섬 SOUND FESTIVAL(2016) 등을 기획했다. 저서로는 『이 땅에서 음악을 한다는 것은』『대한인디만세』『축제기획의 실제』『한국 음악창작자의 역사』『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』 등 여러권이 있다. 현재 음악산업 교육과 정책, 대중음악사 연구, 음악산업진흥을 위한 다양한 기획에 매진하고 있다.
‣인터뷰 : “‘광명음악밸리축제’ 성공 이끈 음악평론가 박준흠씨”(서울신문)
http://news.naver.com/main/read.nhn?mode=LSD&mid=sec&sid1=102&oid=081&aid=0000061569
* 프로젝트 이력
대중음악전문지 서브(SUB) 기획실장, 편집장(1997~1999년)
인터넷음악방송국 쌈넷 방송국장(2000~2001년)
쌈지사운드페스티벌 기획(2000~2001년)
광명음악밸리축제 예술감독(2005~2006년)
광주청소년음악페스티벌 총감독(2008년)
제주세계델픽대회 집행위원(2009년)
가슴네트워크축제 총감독(2009~2013년)
인천펜타포트페스티벌 총감독(2010년)
대중음악SOUND 발행인(2010년~현재)
올림픽홀 뮤즈라이브 총괄기획, 운영(2011년)
월드DJ페스티벌 예술감독(2012년)
SOUND FESTIVAL 총감독(2014년)
사운드네트워크(주) 대표이사(2015년~현재)
한대수SOUND프로젝트 디렉터(2016년)
남이섬 SOUND FESTIVAL 예술감독(2016년)
남이섬 노래박물관 전시디렉터(2016년)
서울아레나를 중심으로 한 음악생태계 활성화방안 수립 연구용역 책임연구원(2016년~현재)
BP음악산업센터 센터장/BP음악산업아카데미 원장 겸임(2017년)
* 저서
- 이 땅에서 음악을 한다는 것은 (1999년, 교보문고)
- 대한인디만세 _ 한국인디음악10년사 (2006년, 세미콜론)
- 문화기획입문 (2006년, 한국방송통신대, 공저)
- 축제기획의 실제 (2007년, 도서출판 한울)
- 한국 음악창작자의 역사 1 (2008년, 도서출판 한울)
-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vol.1. 음반리뷰 (2008년, 도서출판 선, 편저)
-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vol.2. 인터뷰 (2009년, 도서출판 선, 편저)
- 한국의 인디레이블 (2009년, 도서출판 선, 편저)
- 대중음악SOUND vol.1 “대한민국 대중음악의 현주소” (2010년, 선, 편저)
- 대중음악SOUND vol.2 “한국 대중음악 파워 100” (2011년, 선, 편저)
- 대중음악SOUND vol.3 “한국 대중음악 100년” (2011년, 포노, 편저)
- 대중음악SOUND vol.4 “대선공약 100대 과제 제안” (2012년, 포노, 편저)
- 대중음악SOUND vol.5 “한국 대중음악 엔터테인먼트산업”(2012년, 선, 편저)
- 대중음악SOUND vol.6 “대중음악진흥위원회” (2013년, 선, 편저)
- 대중음악SOUND vol.7 “한국 인디명곡 100선” (2013년, 스코어, 편저)
- 대중음악SOUND vol.8 “한국의 음악산업정책” (2013년, 스코어, 편저)
- 대중음악SOUND vol.9 “우리시대 여성 싱어송라이터” (2014년, 스코어, 편저)
- 대중음악SOUND vol.10 “지역음악씬의 현황과 전망” (2015년, 스코어, 편저)
■ 책임강사(박준흠) 담당과목
2) 음악기획과 기획서 작성 방법론(4주)
- ‘포트폴리오 제작/취업 면접 대비’를 진행하기 위해서 사전에 다양한 음악기획에 대해서 알아보고 기획서를 작성하는 방법을 학습한다.
- 음악기획은 축제, 공연, 음반, 전시, 이벤트, 매체, 출판, 아카이브, 아카데미 등을 포괄한다.
3) 포트폴리오 제작/취업 면접 대비(4주)
- 음악사업제안서 작성 실무워크숍
- 현장에서 음악사업 관련 일을 하기 위한 창의적인 프로젝트 제안서 작성에 관한 워크숍
- 취업/면접 대비해서 기획자 본인의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봄
4) 음악산업 현장탐방수업
- 월 1회, 총 2회 진행 (*별도로 평일 진행)
5) 특강 세팅
- 매주 월요일 12회 진행